1교시 : eclipse, Oracle 설치
Destination Folder: C:\oraclexe\
Oracle Home: 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
Oracle Base:C:\oraclexe\
Port for 'Oracle Database Listener': 1521 * 기억하기
Port for 'Oracle Services for Microsoft Transaction Server': 2030
Port for 'Oracle HTTP Listener': 8080
비밀번호 : 1234 로 설정함.
<MySQL 과 Oracle 차이점>
◼︎ Mysql : root 번호로 접속
- 테이블 및 db 생성 자유
◼︎ Oracle : 사용자 계정명으로 접속
- 테이블 생성 어려움, 권한(grant) 부여해줘야 가능, 까다로움
- 사용자 계정명을 만들려면 반드시 시스템으로 접속해야함.
SQL> create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이름(사용자 계정명) 비밀번호
❗️굵은 글씨 부분은 나중에 변경할 수 있는 부분들
1)권한 부여(grant)
SQL> grant resource, connect to scott;
리소스 권한, 연결하는 부분
***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system으로 접속해야함.
Enter user-name: system
Enter password: (안보임)
Connected to:
Oracle Database 11g Express Edition Release 11.2.0.2.0 - 64bit Production
// ----------------- -----------------
C:\Users\Playdata>sqlplus
SQL*Plus: Release 11.2.0.2.0 Production on 월 7월 24 09:47:58 2023
Copyright (c) 1982, 2014, Oracle. All rights reserved.
Enter user-name: scott
Enter password: tiger
Connected to:
Oracle Database 11g Express Edition Release 11.2.0.2.0 - 64bit Production
// 빠져나가기
SQL> exit
Disconnected from Oracle Database 11g Express Edition Release 11.2.0.2.0 - 64bit Production
//----------------------------------------------
2교시 : sql developer 사용방법
sql developer는 계속 컴퓨터에서 구동이 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느려지는 현상이 불편할 경우 시스템 설정에 들어가서 자동 실행이 되지 않도록 수동 설정을 해주면 된다. 하지만 사용할 때마다 잊지 말고 켜줘야 한다. 아직 컴퓨터와 친하지 않는 나는 그냥 자동 실행으로 돌려놓기로 했다.
XE, 리스너 수동 실행 자신의 선택 (스크린샷 참고) ***
간단한 설치 과정 >
압축 푼 후 드라이버에 붙여넣기 > developer 폴더 > exe > 더블클릭 > 아니오 > 사용추적 > 허용 > 확인 > 접속 및 녹색 플러스 버튼(생성 방법) > 이름 한글로 작성해도 됨 JSP 설정 계정
localhost:152:xe ** 나중에 사용함 / 정리해놓기
localhost // :xe <== 이 부분은 실무에서 변경되는 부분이라고 한다.
또한 생성 시 테스트버튼을 눌러서 테스트 후 > 성공이 뜨면 실행하기 !
'+' 버튼으로 계정 추가
<왼쪽 목록 창 설명>
- 가상테이블 : view
- 시퀀스 : 오토 인크리먼트라는 값을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넣는 곳
- 인덱스 : 데이터를 빨리 찾기 위한 색인을 만들어 놓는 것 / 조건이 까다로움 전체 데이터의 몇퍼센트 이하, 이상으로 만들어야 함. (데이터가 적을 경우에 만들면 성능 저하)
* 테이블, 뷰(쇼핑몰), 시퀀스를 주로 사용할 예정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는 모든 폴더를 사용할 줄 알아야 함)
질의 작성기 : 테이블 생성
- 명령 프롬포트를 사용해도 됨.
- 접속해제 / 접속